카테고리 없음
대학마다 ‘약학대 유치’ 사활
아이미래디자인연구소
2009. 10. 11. 19:28
대학마다 ‘약학대 유치’ 사활 | |
2009-10-11 17:32:16 |
2011학년도부터 약학대 학제가 4년제에서 6년제
(2+4체제)로 전환되고 정원이 28년 만에 확대되면
있다.
전국 30개 대학이 약대 신설계획을 밝히는 등 경쟁 이 날로 치열해지는 가운데 정부의 약대 정원 규모
에 대해 반발이 쏟아지는 등 ‘전쟁 상황’을 방불케
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지난 6월 약대 6년제 전환에 따 라 약대 정원을 2011학년도부터 기존 1210명에서
1600명으로 390명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번 약대 증원이 기존 약대보다는 신설에 방점이 찍힌 데다 총정원 규모, 최소 정원, 시도별·권역별 배정 등을 두고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
■정원 390명 증원…사실상 감원(?)
복지부의 390명 증원계획이 발표되자 즉각 반발하고 나선 곳은 기존 약대들이다. 이들은 복지부의 약대 증원안이 기존 약대를 배제한 채 신설 약대에 편중됐다고 지적한다. 복지부는 그동안 약대가 없었던 대구, 인천, 경남, 전남, 충남 등 5개 시·도에 각각 정원 50명을 배정하고 약사가 부족한 경기(100명), 부산(20명), 대전(10명), 강원(10명)에 잔여정원을 배정했다. 8개의 약대가 있는 서울은 이번 증원에서 배제됐다. 이에 따라 늘어나는 정원의 상당수가 지방 약대 신설에 배정되면서 기존 약대는 30∼40명밖에 증원되지 않는 셈. 게다가 약대가 6년제로 전환되면서 2011학년도부터는 학사편입, 농어촌·외국인 특별전형 등 ‘정원 외 입학’이 불가능해지고 2009학년도 입학부터 6년제가 적용돼 2년간 신입생 선발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번 복지부 방침은 정원 동결을 넘어선 감원이라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기존 대학들은 입학정원이 사실상 동결되면 6년제 개편에 따른 교수 충원 및 시설 확충 등의 재원을 마련할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또 시·도별이냐, 권역별이냐를 두고 정원 배정방식을 둘러싼 대립도 첨예하다. 현재 복지부는 약사도 보건의료인력이라는 의견을 내세워 ‘시·도별’ 배정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기존 약대들은 이미 생활권이 광역화돼 있다며 권역별 배정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복지부는 서울·인천·경기를 묶어 수도권으로 분류했을 경우 특정 대학을 염두에 뒀다는 오해를 살 수 있고 광주와 전남을 하나로 묶으면 조선대와 호남대에 약대가 있기 때문에 호남에는 추가 배정이 없을 수 있다는 이유로 권역별 배정에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 ■교과부, 올해 말까지 약대 신설·증원 완료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8월부터 약대 학제개편에 따른 발전 방향, 약대 정원 추가배정 요구, 계약학과 운영 등에 대한 논의를 위해 약대 정책자문위원회를 구성, 복지부와 협의 중이다. 이달 중순께 신설 약대 설립심사기준을 수립하고 검토위원회를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교과부는 11월 말 약대 신설 및 증원 신청을 받은 뒤 12월에는 심사평가를 마무리하고 신설·증원대학을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11일 “올해 안에는 정원 조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라며 “2011학년도 입학을 위해 차질 없이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