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개大(인문사회계열) '수능 100% 전형' 실시… 논술 보는 곳 7개大뿐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16일 발표한 2010학년도 전국 4년제 대학(199개)의 정시모집 요강을 보면 올 정시모집의 특징은 ①정시 모집정원의 전반적인 감소 추세 속에 ②수능과 면접 비중은 늘고 ③논술·학생부 비중은 줄어든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정시 모집인원 감소세 이어지고
올해 정시모집 인원은 총 15만8625명으로 지난해(16만6570명)에 비해 7945명 줄었다. 총 모집인원 대비로는 작년보다 5.7%포인트 줄어든 41.2%에 그쳤다.
정시모집 정원 비중은 2006학년도 52% 이후 줄기 시작해 2007학년도 48.5%, 2008학년도 46.9% 등이었다. 대교협 박종렬 사무총장은 "대학들이 우수 학생을 입도선매(立稻先賣)하는 차원에서 수시 선발 모집인원을 확대하고 있는데다 포스텍이 올해 정원의 100%를 수시만으로 선발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진행 중인 수시모집 결과 일부 대학의 모집단위에서 등록이 미달할 경우 정시모집 선발인원은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이 경우 대학별로 각 모집단위의 변경된 선발인원을 다시 공고하게 된다.
전형별로는 ▲일반전형으로 199개 대학이 14만5042명 ▲특별전형으로 162개 대학이 1만3583명을 선발한다. 특별전형에서는 ▲특기자전형(미술·어학·무용·체육 등)으로 17개 대학이 237명 ▲대학독자적기준전형(사회봉사·사회배려·각종 수상자 등)으로 75개 대학이 4229명 ▲농어촌학생전형으로 131개 대학이 3770명 ▲전문계(옛 실업계)고교출신자전형으로 103개 대학이 2576명 ▲특수교육대상자전형(장애우 등)으로 46개 대학이 446명 ▲기초생활수급자전형으로 64개 대학이 1056명을 뽑는다.
◆수능·면접 반영은 늘고
정시모집에서 신입생을 선발할 때 주요 기준(전형 요소)은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수능시험·면접고사 등인데 이 중에서 수능 비중이 가장 높다. 특히 지난해 수능 등급제 대신 점수제가 도입되면서 변별력이 높아짐에 따라 수능 반영 비중이 대폭 확대됐는데 올해도 이 같은 추세가 이어졌다.
다른 전형 요소 없이 100% 수능만으로 뽑는 대학이 일반전형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고려대·서강대·성균관대·연세대·이화여대·한국외대·한양대 등 81개교로 작년보다 10곳 늘었다. 다만 80% 이상 반영하는 대학은 78개교, 60% 이상은 89개교, 50% 이상은 44개교 등으로 작년보다 조금씩 줄었다.
수능우선선발전형(모집인원의 상위 일정 비율은 수능 점수로만 뽑고 나머지 인원은 '학생부+수능' 등 다른 전형 요소도 가미해 뽑는 것)도 작년보다 늘었다. 지난해 정원의 50%를 수능 우선 선발로 뽑았던 고려대·성균관대·연세대가 올해는 70%로 늘렸다. 서울대도 지난해까지 2단계 전형에서 실시하던 면접 대신 수능 성적을 20% 반영하기로 해 수능 비중을 높였다.
면접·구술고사는 20% 이상 반영 대학이 31개교(작년 28개교), 10% 이상 대학이 36개교(작년 31개교), 5% 이상 대학이 24개교(작년 13개교), 5% 미만 대학이 12개교(작년 27개교)로 지난해에 비해 소폭 늘었다.
◆논술·학생부 비중은 줄어
반면 논술 비중은 꾸준히 감소해 올해는 일반전형 인문사회계열에서 작년보다 6곳이 줄어든 7개 대학(대전가톨릭대·서울대·서울교대·선문대·수원가톨릭대·영산선학대·인천가톨릭대)이 논술고사를 실시한다.
대교협 관계자는 "정시모집은 전형기간이 짧아 채점 등의 부담이 있는데다 입학사정관 전형 확대 등으로 대학들이 면접을 선호하는 영향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