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칠까?

초등1 학년 교육스케줄 잡기

아이미래디자인연구소 2007. 2. 22. 11:01

  1) 제7차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육내용 이해 및 교과서 활용

 

 교육목표를 이해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교육목표에 의해 만들어진 교과서를 가지고 아이들이 학교에서 배우기 때문이지요. 

 

부모님이 교과서 내용을 잘 이해하여 아이들의 교육 스케줄을 짠다면 좀 더 느긋한 마음으로 아이를 교육 시킬 수 있습니다. 

 

7차교육과정의 목표는 글로벌 리더를 키운다는데 있습니다. 

 

*'글로벌'은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을 중점적으로 하겠다는 것이지요. 

 - 국어와 영어 교육이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로 나누어 교육되고 있습니  다.

 -사회와 과학 같은 과목도 모둠활동을 통해 구성되어 있습니다.  

 -컴퓨터 교육을 시키는 이유도 자료 검색이나 정리를 통해 필요한 자료를  얻어내 자신의 주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입니다.  

 

*'인재'는 영재교육에 힘 쏟는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됩니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각급 교육청과 대학부설 영재교육센터에서 영재를 선발해 교육을 시키게 됩니다. 

 

*'키운다'는 학교 교육을 통해 21세기형 국민을 양성한다는 의미인데 선생님 혼자 교육의 내용을 가르치기에는 힘든 현실을 감안해 볼 때 학부모가 교육의 내용을 알고 아이들이 배우는 동안 열심히 도와주어야 잘 교육 받을 수 있습니다.    

 

*7차 교육과정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기간'을 10년으로 잡고 있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교육과정이 과목별로 반복되고 심화되는 것입니다. 중학교에 들어가 공부한다는 것은 이미 6/10을 놓친 셈이 됩니다.

기초가 부족한 아이들이 중학교에 들어가 공부할 때 어려워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초등학교 시절 부모들의 관심이 꼭 필요합니다.

 

  2) 초등학교 1학년 교과목

슬기로운 생활’                         -> 사회와 과학,

즐거운 생활’                             -> 예·체능

바른생활생활의 길잡이 -> 도덕

 

3) 초등학교 1학년 때 준비하면 도움되는 일

 

(1) 읽고 함께 생각하고 얘기나누기

(2) 한자 인증제와 줄넘기 인증제

(3) 활동중심 수업(그림그리기/악보보기/기초체력운동)

 

4) 학부모 선배로서의 조언

(1) 일주일 시간표를 아이와 함께 만드세요.

(2) 수학은 정한 날과 정한 시간에 규칙적으로 교육시키세요.

(3) 수학은 심화 문제까지 풀리세요.

(4) 영어 공부 시간을 늘리세요.

(5) 아이에게 책읽는 시간을 주기 위해 평일 몇 시간 동안 여유시간을 정해두

세요. TV만 켜지 않으면 책을 읽게 됩니다. 

(6) 아이의 성향을 관찰해보고 알아두세요. 문제 상황을 빨리 해결할 수 있습

 니다. 

(7) 예체능은 시간날 때 미리 미리 해 두세요.

(8) 예체능 배울 때 배우는 기간을 크게 장기간/중기강/단기간으로 나누어 계

획을 짜세요. 장기간은 배우는 내용에 큰 차이가 없다면 저렴한 곳에서 교육

을 시키세요.

(9) 사회,과학은 주말이나 방학을 이용하여 체험하도록 도와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