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정보력 꽝 엄마의 반성문

아이미래디자인연구소 2009. 1. 31. 22:24

 

2009.01.27 671호(p116~116)
 
[‘강남 엄마’ 김소희의 교육 톺아보기]
정보력 꽝 엄마의 반성문
김소희 nancysohee@hanmail.net
 
 

얼마 전 작은아이가 모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 입학

시험을 치렀다. 추운 날씨에도 많은 부모가 시험시

간 내내 문 앞을 지키며 아이가 나오기만을 기다렸

다. 나 역시 마찬가지였다.

“엄마, 기대하지 마세요. 풀어본 문제가 거의 없었

어요. 엉망으로 쳤어요.”

시험이 끝나고 나온 아이는 기가 푹 죽어 있었다.

차가운 두 손을 잡아주며 “열심히 노력했으니 됐다

”고 위로했다.

그런데 다음 날 엄마들과 시험에 대해 얘기하다 보

니 화가 나기 시작했다. 모 학원 영재교육원 준비반

 수업시간에 풀이해준 문제가 많이 출제돼 그 학원

 출신 아이들은 거의 다 풀었다는 것이다. 다른 학

원에 다닌 아이들도 비슷한 문제를 접해봤다고 한다. 우리 아이도 영재교육원 준

비를 위해 학원에 다녔는데 그런 문제를 본 적이 없다고 하니, 학원 선택을 잘못

한 엄마 때문에 아이의 노력이 물거품이 된 것 아닌가 싶어 울화가 치밀었다. 아

이에게는 그저 미안할 따름이었다.

며칠 전에는 경영인이 되는 게 꿈인 큰아이가 이런 질문을 했다.

“엄마, 전 어느 분야의 CEO가 되면 좋을까요?”

“글쎄, 네가 좋아하는 산업 분야를 먼저 생각해봐.”

“전 팬시 쪽이 좋아요. 그 방면의 CEO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해요?”

아이는 구체적인 답을 원하는데 해줄 말이 없었다. 팬시산업의 종류를 열거해주

고 각각의 특징도 알려주면 좋으련만 당장 알고 있는 내용도, 보여줄 자료도 없

어 나 자신이 초라하게 느껴졌다.

종종 아이를 뒷바라지하는 데 많은 시간과 열정을 쏟는 부모를 만난다. 그때마다 나는 그동안 뭘 하고 있었는지 답답해진다. 성공하는 아이의 뒤에는 적극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자녀를 이끌어주는 부모가 있다. 물론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삶

을 계획하고 노력하는 게 우선이다. 하지만 어린 자녀가 삶의 방향을 결정할 때

까지 기다리는 동안 시간은 흘러가고, 부모는 자신이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해야

하는지 늘 전전긍긍한다. 너무 어린 나이에 중요한 문제들을 결정해야 하는 건

까. 강요하거나 밀어붙이지 않고 아이를 훌륭하게 키워내는 멋진

엄마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부모의 고민은 깊어간다.

   (끝)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생의 ‘자식 교육비’ 걱정  (0) 2009.02.24
훈훈한 나눔 ‘새싹 멘토링’  (0) 2009.02.14
건강한 사춘기 통과법  (0) 2009.01.20
‘따로따로’ 한자교육 어쩌나  (0) 2009.01.12
하여간 영어가 고민  (0) 2009.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