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글

중국어 간체와 한자 정자체

아이미래디자인연구소 2007. 9. 29. 00:23

Q: 안녕하세요, 저 한자에 대한 궁금증이 있어 또 들렸어요, 선생님이 말씀하시다싶이 미래에 중국어공부은 필수라고 하시였는데 제가 알기로는 중국어하고 한국에서 말하는 한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요, 즉 다시  말하면 중국에서 중국어는 약자로 배우고 한국에서는 정자로 배우는데 혹시 아이들이 중국어도 배우고 한자도 배우고 하면 헷갈리지 않을까요? 많이 고민되네요.

 

A: 우리나라에서 쓰이는 한자가 3,650자 정도인데 비해 중국에서 쓰이는 한자는 40,000자라고 하니 우리 나라의 한자는 10%밖에 되지 않는군요. 

 

물론 우리 나라에서는 주로 쓰이는 한자 1,000자 정도만 알면 지성인으로 살아가는데 큰 무리가 없습니다.  

중국어 교육 사이트(중국어단어얌얌http://www.yamchina.com)에서는 중국어 필수 한자를 4,000자 정도 가르치고 있군요. 

 

우리 나라에서도 약어를 쓰고 있습니다만 굳이 약어를 외워 쓸 정도는 아닙니다. 중국에서는 약어라고 하지 않고 '간체'라고 하는 군요. 간략하게 줄여쓰는 말이라는 뜻이겠지요. 중국어 교육 사이트에서는 약 900자 정도를 외우도록 권하고 있군요.

 

중국어와 우리 나라에서 쓰는 한자, 일본어는 같이 한자를 쓴다는 공통점은 있지만 같은 의미로 쓰이는 말일지라도 단어 속 한자 낱자가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한자를 알고 있더라도 나라별 단어 쓰임을 따로 익혀야 한다는 것이지요. 이 부분은 시간을 두고 연습이 필요합니다.  공부할 때 헷갈린다고 하더라구요.

 

중국어를 배우고 한자를 배우는 아이들은 공부하는 과정에서 헷갈린다는 얘기를 하더군요. 하지만 한자 정자를 배우고 약자를 배우는 아이들은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중국어 기초 한자를 보더라도 기본 한자 교육이 되지 않으면 금방 배우기 어렵다는 생각이 드실 겁니다.

 

중국어 교육에서 어려운 점은 읽기와 쓰기가 아니라 말하기와 듣기라고 합니다. '사성'이라는 음의 높낮이를 잘 듣고 말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하네요. 한 단어당 30번씩 읽어 익히라고 권하는군요. 많이 읽고 말하고 듣는 것이 발음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중국어를 필수라고 보지 않습니다. 하지만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중국어 교육이 조기 교육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하네요. 영어를 제외한 제2외국어는 자신의 진로에 맞추어 선택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만약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 중국어를 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면 중국어를 해둔 것이 유익하겠지요. 하지만 일본어가 될지, 스페인어가 될지,프랑스어가 될지는 장담하기 어렵네요. 

 

 수능 제2외국어 시험 선택을 위해서라면 아이가 좋아하는 언어를 선택하는 것도 좋지만 그동안 배웠던 실력과 관계된 언어를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요?  

 

저희 집의 경우, 영어를 많이 한 큰 아이는 유사 언어인 프랑스어를 배우고 싶어합니다. 비슷한 점이 많아 쉽다고 하네요. 둘째는 한자에 대한 남다른 열정이 있어 배우기를 좋아합니다. 이 아이는 일본어나 중국어 중 선택 할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