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성적 올리는 법? 눈 딱 감고 3000문제만 풀어봐”
‘수리 귀신’ 황인성군이 말하는 수학 공부법
연세대 의예과 1학년에 재학 중인 황인성군은 고등학교 시절 수학 때문에 마음고생이 심했다. 고등학교 1학년 1학기 수학 과목 평가는 ‘가’. 첫 중간 고사 점수는 58점이었다. 모의고사 수학 성적도 좋지 않았다. 형편없는 성 적에 충격을 받은 황군은 1학년 2학기부터 수학공부를 새로 시작했다. 그리고 1년 6개월 만에 바닥에 떨어졌던 수학 성적을 1등급으로 끌어올렸 다. 대학 입학 후 그는 네이버 수능 자료 카페 ‘수만휘닷컴’에 수학 공부 비 결을 올려 학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고, ‘수리 귀신’이라는 책을 펴내기도 했다.
▲ 연세대 의예과 1학년 황인성군 문제 유형을 확실하게 익혀라 고등학교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공식을 이용해 이 문제를 풀 것인가’를 깨우치는 일이다.
황군은 “수학은 개념과 원리만 안다고 해서 문제를 풀 수 있는 것은 아니 다”라며 “많은 문제를 풀어보면서 문제 유형과 풀이법을 익히는 게 무엇
보다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수학 성적을 올리고 싶다면 눈 딱 감고 6000문제만 풀어보라”고 권 한다. 대략 모의고사 5등급 아래의 학생이라면 우선 ‘3000문제 풀기’를 목
표로 삼는 게 좋다. 여기서 말하는 3000문제는 현재 수준에서 조금 감은
잡히지만 해답 없이는 풀기 어려운 수준이어야 한다. 문제를 한번 풀고 채
점한 뒤 쉽게 풀 수 없었던 문제에 표시를 해두고 풀이과정을 여러 번 베껴
써본다.
문제와 풀이과정을 꼼꼼히 읽고 반복해 쓰면서 ‘어떤 문제에 어떤 공식을 활용하는가’를 확실히 익히는 것이다. 황군은 “처음 공부를 시작하면 해답
조차도 이해를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때는 차라리 풀이과정을 손으로
여러 번 베껴 쓰면서 문제 유형에 익숙해지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10-가·나 과정 어렵다면 수학Ⅰ부터 시작해 보라 황군은 고1 2학기에 수학 공부를 새로 시작하면서 공통수학을 복습하는 대 신 앞으로 배울 수Ⅰ교과서를 폈다. 공통수학 성적이 나빠 걱정스러웠지만,
수Ⅰ 교과서를 살펴보니 공통수학과 겹치는 부분이 거의 없었다. 수Ⅱ 역
시 맨 앞의 무리/분수방정식을 제외하면 공통수학 내용이 꼭 필요한 부분이
없었다.
공통수학을 확실하게 공부해 둔다면 수학문제를 푸는 여러 가지 공식을 수Ⅰ·Ⅱ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1학년 때 성적이 나빴던 학생이라도
수Ⅰ·Ⅱ를 열심히 공부하면 역으로 수Ⅰ·Ⅱ의 증명법이나 새로운 계산법을
공통수학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수학의 연립방정식에서 나오는
3원1차 방정식은 나중에 나오는 수Ⅱ 공간벡터 부분에서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를 구하는 문제와 풀이방식이 같다. 따라서 공통수학의 3원1차 연립방
정식을 못했던 학생이라도 뒤쪽 공간벡터 부분을 집중해서 듣는다면 같은
꼴의 연립방정식을 충분히 풀 수 있다. 황군은 “공통수학을 못한다고 해서
수Ⅰ·Ⅱ를 공부해야 하는 시간에 공통수학만 파고들지 말라”며 “일단
수Ⅰ·Ⅱ를 공부한 다음에 공통수학을 다시 보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고 조언했다.
수학은 식으로만 푼다는 고정관념 버려라 수학 문제를 풀 때는 그림을 최대한 활용한다. 특히 고등학교 수학에서는 함 수와 방정식 문제가 절반이 넘는데 이런 문제는 그래프를 활용하는 게 좋다.
삼차방정식이나 이차방정식 등도 그래프를 그려보면 근의 위치 등을 대강 파 악할 수 있고, 문제도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 그래프를 그려서 풀다 보
면 오답을 골라내는 능력이 길러진다.
그래프를 반복해 그리다 보면 정확도가 점점 높아져 나중에는 눈대중으로 그 려도 대략적인 답을 구할 수도 있다. 특히 수능시험 같이 시간이 빠듯한 상황
에서 15cm 자 하나만 가지고 실제와 거의 같은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면 매
우 큰 도움이 된다. 어려운 문제를 만났을 때는 그래프를 그리면서 머릿속으
로 문제를 시각화해 다양한 풀이 방법을 생각해보도록 한다.
/오선영 맛있는공부 기자(글) syoh@chosun.com /조영회 기자(사진) remnant@chosun.com |
'수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사(秋史) '세한도'에 숨겨진 수학 비밀을 풀다 (0) | 2008.02.27 |
---|---|
인도학교의 수학 교육에 관해서 (0) | 2008.02.08 |
아이들 수학공부 노하우 선물보따리 (0) | 2007.05.08 |
수학은 기초가 튼튼하여야 한다. (0) | 2007.05.08 |
학습지와 주판 (0) | 2007.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