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수업가능 교사 49.8%뿐,
2년안 교과 개편도 불능
|
인수위의 ‘영어 공교육 완성 프로젝트’에 대해 교육계가 강력 반발하고 있다. 취지는 공감하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탁상 공론이라는 것이다. 앞으로 2년이라는 짧은 시간안에 교과 과정과 교과서를 개편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국 초·중·고 영어 담당 교사에 대한 교육부의 전수조사 결과(2006년 5월)에 따르면 영어로 수업이 가능한 영어 교사는 전체 49.8%인 1만6171명밖에 되지 않는다. 게다가 이는 ‘주당 1시간’ 이상 수업할 수 있다고 교사들이 스스로 밝힌 숫자에 불과하다. 최근 충남교육청이 모든 고교에서 영어수업을 하겠다고 선언했지만 그 완성 시기는 2012년에서야 가능할 것으로 봤다. 40, 50대 교사들이 2년 안에 ‘영어로 수업 가능한’ 수준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교단은 회의적이다.
부천의 ㅅ고교 영어교사 이모씨(29)는 “당장 교사들이 영어 사교육을 받아야 할 판”이라며 고개를 흔들었다. 이씨는 “영어로 수업할 수 있는 교사들도 적은 상황에서 다른 과목까지 영어로 수업한다는 게 말이 되냐”며 “인수위의 탁상공론일 뿐”이라고 말했다.
학생들이 영어수업을 제대로 소화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김행수 교사(37·동성고)는 “상위권은 따라오겠지만 하위권 학생들의 경우 수업 내용 자체를 이해하지 못해 소외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백원규 교사(49·충남 예산중)는 “서울 및 대도시 지역에서는 어릴 때부터 조기 영어학습을 시켜온 터라 문제가 없을지 모르겠으나, 농어촌의 상당수 고등학교는 영어수업이 불가능 할 것”이라며 영어수업이 또다른 지역별 학습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을 제기했다.
교과과정 및 교과서 개편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교과과정 개편에 참여한 서울대 이병민 교수(영어교육)는 “최근 개편된 새로운 교과서를 써보지도 않고 다 폐기처분하겠다는 것인가”라며 “새로 만든다 해도 교과서 하나 준비해서 배포되는 데 최소 3년은 걸린다”고 말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도 “구체적인 정책이 나와야 일선에서도 움직이는데 시간이 촉박하다”고 말했다.
일선 교육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인수위가 강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해 한 교육 전문가는 “이명박 당선인이 교육 정책을 청계천 복원 정도로 판단, ‘내 사전에 불가능은 없다. 밀어붙이면 된다’는 식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임지선·임현주기자 vision@kyunghyang.com〉
'영어교육(중등,고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 ‘영어교육 강화’ 최종 타깃은 (0) | 2008.01.27 |
---|---|
‘몰입교육’ 영어가 공용인 나라서 시행 (0) | 2008.01.27 |
‘영어로만 수업’ 2년 만에 어떻게 … (0) | 2008.01.25 |
사회·과학교사 '부글부글' (0) | 2008.01.25 |
'영어몰입식 교육'은 모두에 부담 (0) | 2008.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