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육(중등,고등)

현장 교사들 “경제력 있는 계층 학생만 혜택 볼 것”

아이미래디자인연구소 2008. 1. 28. 12:56

현장 교사들 “경제력 있는 계층 학생만 혜택 볼 것”


[한겨레] ‘영어로 수업’ 일반고-특목고 양분화 가능성

이명박 차기 정부의 영어교육 강화 방안에 따라 2010년부터 고등학교 영어수업을 영어로 진행하더라도 효과는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학교를 차별화하는 ‘
고교 다양화 300 방안’ 등과 결합되면, 자칫 경제력 있는 계층의 학생만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교육 전문가들은 영어로 하는 영어수업의 전제조건으로 교사의 영어 구사력과 함께 △학생들의 비슷한 수업능력 △20명 가량의 작은 학급 규모 등을 꼽는다. 현재 일부 사립 초등학교가 이런 조건을 충족하고, 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는 30명 안팎 학급이지만 학생들의 수업능력이 비슷해 원어민 교사 등 영어로 하는 수업이 일부 이뤄지고 있다. 반면 일반고에선 이 두 조건과 거리가 멀어 우리말로 하는 영어수업마저 쉽지 않다는 게 현장 교사들의 반응이다.

앞으로 자율형 사립고 100곳, 기숙형 공립고 150곳 등이 생겨나 상위권 학생들이 특정 학교로만 몰리면 이런 현상은 더욱 굳어질 공산이 크다. 서울 영등포구 한 고교의 영어교사는 “지금도 특목고 등으로 우수 학생들이 빠져나가 중하위권 학생들만 있는 일반고에서는 수업 효과를 높이기 힘들다”고 말했다.

대입 자율화로 대학들이 대학별 영어시험 등을 치겠다고 하면 경제력으로 사교육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일부 계층 자녀들의 대입 통로는 더 넓어질 가능성도 있다. 서울 ㄷ고 영어교사 김아무개(36)씨는 “특수한 고교를 만들어 학교를 양분하면 일반고의 영어수업은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고통의 시간이 될 것”이라며 “여건이 좋은 소수 학교만 혜택을 누릴까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학생을 상·중·하위권 등으로 나누는 수준별 수업 방식을 검토해 볼 수 있지만, 이 방식은 지금도 현장에 뿌리내리지 못하고 있다. 하위권 학생을 작은 규모로 편성해야 해 현재보다 많은 교사가 필요하고, 수업은 나눠서 하면서 평가는 일원화돼 있는 등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영어교사의 재교육 같은 대책은 검토한다면서도,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이나 일반고 학생들의 수업 수준 제고 등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방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사진 류우종 <한겨레21> 기자 wjryu@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