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야기

국내 연구진, 기억 재구성 과정 밝혀

아이미래디자인연구소 2008. 2. 8. 21:56

국내 연구진, 기억 재구성 과정 밝혀

 

서울대 강봉균 교수팀,

사이언스(Science) 온라인판에 게재

 
 
 
연합뉴스

 
 
기억이 재구성되는 메커니즘이 세계 최초로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기억제어연구단의 강봉균 교수 연구팀은 한번 저장된 기억이 다시 인출될 때 기억을 저장하는 시냅스가 허물어지는 메커니즘이 있으며, 이 과정이 기억 재구성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임을 밝혔다고 7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 과학권위지인 ‘사이언스(Science)’의 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신경과학자들은 인간의 뇌에서 시냅스들이 단단하게 강화되는 과정을 통해 배우고 경험한 것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으며, 시냅스 강화과정에서 단백질의 합성이 필수적이라는 점에 주목해 여러 연구를 해왔다.

그 결과 기억을 떠올릴 때 뇌에서 기억을 부호화하는 시냅스가 어떤 이유에선가 불안정해진다는 것을 알아냈으나 어떤 과정을 통해 단단했던 시냅스가 불안정해져 기억을 재구성할 수 있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었다.

강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기억을 떠올릴 때 기억을 부호화하며 강화됐던 시냅스가 특수단백질분해과정(ubiquitin-proteasome system)을 통해 허물어지고 결국 기억을 재구성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는 것을 밝혀냈다.

기억을 떠올릴 때 시냅스를 구성하는 신경 세포들은 특수단백질분해과정을 사용해 시냅스의 단백질 분해를 증가시키고 이러한 증가가 결국 기억을 부호화하는 시냅스를 허물어뜨려 기억 재구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또 특수단백질분해과정의 활성을 억제하게 되면 기억이 재구성될 수 있는 상태로 가지 못해 기억의 변형, 극단적으로는 기억의 소멸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강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저장됐던 기억이 재구성 가능한 상태가 되는 메커니즘을 밝혔다는 과학적 의미뿐 아니라, 기억을 유지하거나 변형시키는 과정으로 응용돼 의학적으로도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 교수팀은 현재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이 지원하는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기억 인출 시 단백질 합성을 억제했을 때 붕괴되는 기억이 특수단백질분해과정(ubiquitin-proteasome system)을 같이 억제하게 되면 붕괴되지 않게 됨을 보여주는 자료.

특수단백질분해과정(ubiquitin-proteasome system)을 억제하게 되면 저장되었던 기억의 소멸이 불가능하게 됨을 보여주는 자료.

서울대 생명과학부 강봉균 교수
입력 : 2008.02.08 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