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내용은 (주)1%클럽에서 발췌하였습니다.
http://www.k-abc.kr/new_page/02_Kabc/Kabc_01_05.aspx
한국판 K-ABC는 16개의 하위검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아동에게 실시되는 하위검사의 수는 연령에 따라 달라지며 최대 13개 하위검사가 실시된다. 하위검사중 어떤 것은 2세 6개월∼12세5개월 전 연령에 걸쳐 실시되기도 하고 어떤 하위검사는 일부 연령에만 실시되기도 한다.
연령에 따라 선택되는 검사의 종류도 다르고 검사의 수도 달라진다. 주로 아동의 관심, 행동, 취학전 아동과 취학 아동의 인지발달 수준 등을 감안하여 실시할 하위검사가 선정되었고 적용연령이 정해졌다. 아동의 발달적 요구를 감안하여 나이가 어린 아동일 수록 실시되는 검사의 수도 적게 하고 실제 검사실시 시간도 짧게 하였다. (각 연령에 따라 실시되는 하위검사에 대해서는 표1.1을 참고)
16개 하위검사의 일반적 실시방법과 각 하위검사의 실시 대상 연령은 아래와 같다. 그리고 [K-ABC 검사틀]과 [개별 검사결과 기록용지]는 각 연령수준마다 실시될 하위검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1. 순차처리척도
손동작(2세 6개월∼12세 5개월) : 검사자가 일련의 손동작을 만들어 보인다. 아동은 검사자가 보여주는 손동작들을 관찰한 다음 검사자가 보여준 순서대로 똑같이 반복한다.
수회생(2세6개월∼12세5개월) : 검사자가 아동에게 일련의 숫자들을 불러주면 아동은 검사자가 불러준 숫자들을 똑 같은 순서대로 따라 외운다.
단어배열(4세0개월∼12세5개월) : 검사자는 아동에게 일련의 단어(흔히 볼 수 있는 사물의 이름)를 불러주고 난 후에 그 사물을 포함하고 있는 여러 사물의 음영 그림이 그려져 있는 그림판을 제시한다. 아동은 검사자가 불러준 순서대로 그림들을 그림판에서 찾아 지적한다.
2. 동시처리척도
마법의 창(2세 6개월∼4세 11개월) : 검사자는 마법의 창틀에 붙어있는 원판을 5초간에 걸쳐 그림의 부분들이 연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천천히 돌린다. 아동은 창문의 틈을 통해 본 그림이 무엇인지를 검사자에게 말한다.
얼굴기억(2세 6개월∼4세 11개월) : 검사자는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의 얼굴이 있는 첫 번째 사진을 아동에게 5초 동안 보여준 다음에 다시 여러 명의 얼굴이 있는 두 번째 사진을 제시한다. 아동은 첫 번째 사진에서 보았던 얼굴을 두 번째 사진에서 찾아내어 검사자에게 지적해 보인다.
그림통합(2세 6개월∼12세 5개월) : 검사자는 부분적으로 그려진 어떤 사물의 그림을 보여주면 아동은 그 사물이 무엇인지를 말한다.
삼각형(4세 0개월∼12세 5개월) : 검사자는 아동에게 삼각형으로 구성된 모형 그림과 삼각형 조각들을 제시하면 아동은 삼각형 조각들을 이용하여 모형과 동일한 모양을 만든다.
시각유추(5세 0개월∼12세 5개월) : 검사자는 아동에게 한 요소가 빠져 있는 시각적 유추문제와 빠진 부분에 적합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일련의 그림이나 도형을 보여준다. 아동은 일련의 그림이나 도형 중에서 주어진 유추문제에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검사자에게 지적해 보인다.
위치기억(5세 0개월∼12세 5개월) : 검사자는 백지판 위에 여러 개의 그림이 그려있는 사진을 5초 동안 아동에게 보여준다. 그리고 다시 그림은 없어지고 그 자리에 여러 개의 칸이 그려진 백지 판을 제시한다. 아동은 앞장의 백지판위에서 보았던 그림들이 있어 던 위치를 두 번째 백지판위에서 찾아 지적해 보인다.
사진순서(6세 0개월∼12세 5개월) : 검사자가 일련의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과정을 찍은 여러 장의 사진들을 제시하면 아동은 사간이 일어나는 순서대로 사진들을 검사자의 손바닥 위에 놓아준다.
3. 습득도 척도
표현어휘(2세 6개월∼4세 11개월) : 검사자는 아동에게 어떤 사물의 사진을 보여주면 아동은 그 사진 속의 사물의 이름을 말한다.
인물과 장소(2세 6개월∼12세 5개월) : 검사자가 아동에게 어떤 인물이나 장소의 사진을 보여주면 아동은 그 사진 속의 인물이나 장소의 이름을 말한다.
산수(3세 0개월∼12세 5개월) : 검사자는 아동에게 동물원의 여러 광경을 그린 그림을 보여주면서 산수 문제를 낸다. 아동은 검사자가 제시한 문제에 대해 대답한다. 수수께끼(3세 0개월∼12세 5개월):검사자는 아동에게 어떤 사물이나 개념의 특성을 몇 가지 읽어주면 아동은 그 대상의 이름을 말한다.
문자해독(5세 0개월∼12세 5개월) : 검사자가 아동에게 문자나 단어를 보여주면 아동은 그것을 소리내어 읽는다.
문장이해(7세0개월∼12세5개월) : 검사자는 아동에게 어떤 동작을 지시하는 문장을 제시하면 아동은 그 문장이 지시하는 동작을 만들어 보여준다.
[표1.1] 연령병 K-ABC 하위검사의 편성
|
'영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KEDI-WISC 검사(2)- 결과의 활용방안 (0) | 2008.03.16 |
---|---|
KEDI-WISC 검사(1) (0) | 2008.03.16 |
잘 알려진 지능검사는 어떤 것이 있나요? (0) | 2008.03.16 |
k-abc지능검사(2)- 구성 (0) | 2008.03.15 |
K-ABC 지능검사(1) (0) | 2008.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