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칠까?

공부 거부감 있는 아이, 체험으로 흥미 유발

아이미래디자인연구소 2008. 3. 25. 00:48
공부 거부감 있는 아이, 체험으로 흥미 유발
조선일보 방종임 기자 | 2008-03-24 05:35:03 

유형별 자기주도학습

중학교1학년 자녀를 둔 김연희(서울 도봉구·39)씨는 요즘 고민이 많다. 아들이 공부할 생각을 전혀 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학교에 입학하면 달라질 것이라 품었던 기대는 이미 깨진 지 오래다. 이웃집에 사는 아이가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공부 습관이 잡히고 성적도 많이 올랐다는 말에 그대로 따라 했던 것이 화근이었다."공부하라"고 잔소리하지 않아도 스스로 잘하는 아이를 보면 그저 부럽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기까지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평소 올바른 공부 습관으로 공부한 아이만이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기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한 자녀 유형별 학습 지도 방법을 소개한다.

▲ 공부에 거부감 있다면

 
첫째, 공부에 거부감이 있는 아이
 
공부라는 말만 들어도 강한 거부감을 보이고 평소 공부를 싫어하는 아이라면 공부 혐
오감을 떨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공부에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수단을 총동원한다. 우선 공부할 때의 느낌이 달라질 수 있도록 공부방법부터 바꿔본다. 과학이나 사회과목은 실험이나 체험을 통해 생생한 경험을 하게 하고, 국어나 영어는 딱딱한 교과서가 아닌 좋아하는 책부터 읽게 한다. 수학은 다양한 교구를 이용해 본다.

성적에 대한 부담에서 벗어나도록 배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시험에 대한 압박에서 벗어나 자신의 실력과 수준에 맞게 공부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어려워하거나 취약한 과목보다는 재미있어 하는 것부터 공부하게 하고, 교재 또한 마음에 드는 것을 직접 택하게 한다. 시험이나 교과공부와는 무관하더라도 관심을 보이는 분야가 있으면 의욕적으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주고, 성실히 마쳤을 경우 진심으로 칭찬해준다. 그 과정에서 아이는 성취의 기쁨이 뭔지 깨닫게 된다.
 

▲ 공부 방법을 모를 때

둘째, 공부할 마음은 있지만 발법을 모르는 아이
 
공부는 매일 정해진 분량의 예습과 복습을 하도록 지도한다. 먼저 복습은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가급적 빨리 요약·정리하게 하고 주말을 이용해 모르는 내용은 없는지 점검하게 한다. 예숩은 먼저 각 단원의 시작부분에 나오는 학습목표나 개요를 보고 무엇을, 왜 배우는지 이해하게 한 다음 예상되는 진도를 읽고 질문거리를 찾는다.

▲ 머리는 좋지만 공부 안할 때

셋째, 머리는 좋으나 공부를 안 하는 아이
 
잠재적 위험성이 가장 크며 자녀가 고학년이 될수록 공부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기 쉽다. 한마디로 지금 성적이 좋다고 해서 방심하다가는 큰코다치기 쉽다. 대체로 이 유형에 해당하는 아이들은 성적의 기복이 크며 공부하는 시간도 불규칙하다. 평소 규칙적으로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방학 기간, 시험기간 여부에 관계없이 하루 학습량을 비슷한 수준으로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평소 일정하게 공부하도록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반드시 실천하도록 곁에서 지도한다.
 
마음만 먹으면 성적을 올릴 수 있다는 자만심에서 벗어나도록 해야 한다.교재는 공부 의욕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가급적 난이도가 높은 것을 선택한다. 객관식보다는 주관식 문제를 풀게 하고 무조건 많은 문제를 풀기보다는 한 문제라도 확실히 알게 하는 것이 좋다. 각종 경시대회에 참여시키는 것도 좋은 자극이 된다.

▲ 노력에 비해 성적이 나쁠 때

넷째,노력하는 것에 비해 성적이 안 나오는 아이

부모의 간섭이나 개입 없이도 열심히 하지만 성적은 잘 안 나와 위축된 아이가 해당된다. 공부 의욕은 있어 다그치는 것보다는 여유를 갖고 지켜봐 주는 편이 좋다. 특히 이런 아이들은 교내 시험보다는 교외 시험에서 실력 발휘를 못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해 정석 향상보다는 틀린 이유 분석에 주력해야 한다. 시험 불안 등 심리적인 문제가 없는지부터 살펴본다. 성적에 대한 불안감이 있을 수 있어 격려하며 정신적으로는 든든한 조언자 역할을 해준다. 오답노트를 만들게 하는 것이 좋은데,이때는'왜 틀렸는지' ' 그 문제에 대해 자신은 어떻게 생각했는지' '출제자의 의도는 뭔지'까지 적게 한다. 도움말=비유와상징 공부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