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대입선진화 연구회(총괄위원장 성태제 이화여대 교수)는 전면적으로 개편된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시안을 내놓았다.
연구회는 19일 서울 신문로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린 '중장기 대입선진화 연구 발표 세미나'에서 현재 중3학생들부터 적용될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시안을 발표했다.
연구회가 제안한 개편안에 따르면, 2014학년부터는 연 1회 치러지던 수능이 연 2회 시행으로 바뀐다. 11월에 보름 간격으로 2회 시행하겠다는 것이다.
수험생은 희망에 따라 1회 혹은 2회 응시할 수 있으며, 2회 응시시 원하는 과목 성적을 대학에 제출할 수 있다.
또 현재의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이 각각 국어, 수학, 영어로 이름이 바뀌고, 각 과목은 난이도를 나누어 A형, B형으로 구분해 치러지게 된다.
예를 들어 국어의 경우 B형은 현행 수능 수준을 유지하고, A형은 현행 수능보다 출제범위를 줄이고 쉽게 출제하겠다는 것이다. 연구회는 출제범위가 넓은 수리가형을 보는 이과 학생들만 공부를 더 해야 한다는 불만을 감안해 이같은 안을 내놓았다고 밝혔다.
연구회는 수준별 출제와 관련해 "B형은 결코 심화형 수능이 아니다"며 "현행 난이도의 시험이 B형이고 상당히 쉬워진 시험인 A형을 따로 낸다고 보면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수험생은 자신의 학력수준과 진학할 대학의 계열 등에 따라 A형과 B형 중 하나를 선택해서 응시하게 된다.
탐구영역은 유사 과목끼리 통합돼 치러지고 응시과목도 1개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사회탐구는 현재 윤리, 국사, 한국지리, 경제질, 세계지리, 한국근현대사, 세계사, 법과사회, 정치, 경제, 사화문화 등 11개 과목인데 이를 지리, 일반사회, 한국사, 세계사, 경제, 윤리 등 6개 과목으로 통합하고 이 중 1개 과목만 선택 응시토록한다는 것이다.
과학탐구도 현재 물리I, 물리II, 화학I, 화학II, 생물I, 생물II, 지구과학I, 지구과학II 등 8개 과목을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 4개로 통합해 이 중 1개만 선택하게 할 계획이다.
제2외국어ㆍ한문역역은 대입반영 비율이 다른 영역에 비해 현저히 낮고 읽기 중심의 수능으로는 제2외국어 교육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수능에서 아예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중장기 대입 선진화 연구회는 이날 세미나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해 이달 말까지 교과부에 최종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교과부는 이를 토대로 10월말 정부안을 확정, 발표한다.
<정성일 기자 soultrane@vo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