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20년만에 대수술]
[2014학년도부터 이렇게 달라진다]
국·영·수+탐구 1과목… 두 번 봐서 좋은 성적 고른다
조선일보 | 유석재 기자 | 2010.08.20 02:58
11월에 보름 간격 2회 실시… 국·영·수 시험유형 2가지 쉬운 A형, 현재수준 B형
탐구는 1과목으로… 사탐 6·과탐 4개중 택일 1·2차 과목 달라도 돼
대입 수학능력시험이 도입 20년 만에 전면적인 대수술을 맞게 됐다. 수험생의 공부 범위 부담을 줄여주고 실수를 만회할 기회를 준다는 취지이나, 큰 시험을 잇달아 두 번 치르는 데다 국·영·수의 A·B형 분리로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많아지는 수험생 입장에선 오히려 부담이 커진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2014학년도 수능시험 개편안(案)이 확정되면 현재 중3 학생들이 응시하게 될 수능부터 일대 변화가 이뤄지게 된다.
◆두 번 봐서 좋은 성적 고른다
수능을 1년에 한 번 치르는 현행 제도엔 비판이 많았다. 고교 3년간 공부한 결과를 단 1회로 평가받는 것인데, 당일 컨디션이나 실수·사고에 따라 인생이 좌우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수능을 처음 시작한 1994년도에는 8월과 11월로 나눠 두 차례 시험을 치렀지만 11월 시험이 어렵게 출제되는 바람에 다음해부터는 1회 체제로 돌아갔다. 그러나 원(原)점수 체제였던 당시와는 달리 지금 수능은 표준점수 체제이므로 그때처럼 심각한 난이도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개편안은 수능을 11월에 15일 간격으로 2회 시행하도록 했다. 수험생은 희망에 따라 1회 또는 2회 응시한 뒤 점수가 좋은 과목의 성적을 골라서 대학에 제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어는 1차 성적을, 수학은 2차 성적을 뽑아서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국어·영어·수학의 A·B형은 바꿀 수 없다. 1차에서 국어A를 선택했다면 2차를 국어B로 바꿀 수 없다는 뜻이다. 하지만 사회탐구·과학탐구의 선택 과목은 바꿀 수 있어 예컨대 1차에서 물리 시험을 봤더라도 2차에서는 화학 시험으로 교체할 수 있다.
◆'쉬운 A형'과 '현재 수준 B형'
국·영·수 3과목의 A·B형 분리는, 현행대로라면 일부 수험생은 불필요하게 어려운 시험을 준비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나온 것이다.
B형은 이미 발표된 2012학년도 수능과 같은 난이도를 유지하되 A형은 현행 수능보다 출제 범위를 줄이고 쉽게 출제해 수험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조정된다. 지금보다 쉬운 시험(A형) 하나가 따로 생기는 셈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B형이 지금보다 어려운 '심화형'이라는 오해가 없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는 출제 범위가 넓은 '수리 가'를 보는 이과생들이 더 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A·B형이 분리되면 이과생이 쉬운 국어 A형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문과와 이과의 공부량이 비슷해질 것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예·체능계 학생들은 국·영·수 모두 A형을 보고 진학할 수 있게 된다.
◆사탐·과탐 중에서 한 과목만
수능 과목이 최소 4개로 대폭 축소되는 것도 개편안의 큰 특징이다. 연구진은 "현재 탐구 영역이 좁은 범위에서 어려운 문제를 출제하는 점을 개선해 넓은 범위에서 핵심적인 내용을 쉽게 내도록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유사 과목의 통합이 이뤄진다. 사탐 영역에서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는 '지리' ▲법과 정치, 사회·문화는 '일반사회' ▲세계사, 동아시아사는 '세계사'로 통합되며, 여기에 한국사, 경제, 윤리까지 모두 6과목(현재 11개)으로 줄어든다. 과탐은 'Ⅰ'과 'Ⅱ'를 통합해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의 4과목(현재 8개)으로 조정했다.
수험생은 이 중에서 한 과목만 골라 보면 된다. 다만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사탐·과탐 시험은 20문항 30분에서 40문항 60분으로 늘어난다. 배점도 국·영·수와 같게 원점수가 100점이 된다.
◆제2외국어는 어디로?
개편안에서 끝내 결론을 내지 못한 부분이 제2외국어·한문 영역이다. 당초 별도의 국가인증시험을 개발해 수능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추진됐다.
그러나 개편안은 제2외국어·한문을 수능에서 분리하는 '1안'과 현행대로 유지한 '2안'을 모두 내놓은 뒤 추후 결정하겠다고 미뤘다. 고교 수업의 파행과 해당 과목 교사, 학계의 반발이 예상됐기 때문이다. 2안의 경우에도 사탐·과탐보다 배점이 적은 평균 50점이기 때문에 탐구 영역의 1과목을 대체할 수는 없게 된다.
직업탐구 영역은 현재 17개 과목 중 최대 3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5개 과목에서 하나만 응시하도록 했다.
'대학입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기 안 보는 홍익대 미대 입시현장 가 보니 (0) | 2011.01.24 |
---|---|
입학사정관제 중심… 학교별로 2~3개로 (0) | 2011.01.22 |
1등급으로 가는 인강 활용법 (0) | 2011.01.14 |
서울대 논술 '케플러 과학적탐구' 출제 (0) | 2011.01.11 |
'年2회 수능' 실시 1~2년 늦춰질 듯 (0) | 201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