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 가는 공대] 세종대학교_환경·에너지·식물육종 분야 "국내 최고 학과로 올라선다"
조선일보 | 곽수근 기자 |2011.04.25 16:17
나노신소재공학연구소…
전기차 급속충전 리튬배터리… 핵심소재 개발에 나서
식물공학연구소… 경기도 광주시와 MOU 체결
식물공학연구소 설립 추진
'종자전쟁'서 우리 종자 지킨다
우리 전근대사에서 과학기술이 가장 꽃을 피운 때로 세종대왕 시기를 꼽는 이들이 많다. 혼천의·자격루·측우기 등 당시 세계 수준의 과학기술 기기와 인쇄술 발전뿐 아니라 '농사직설' 편찬 등 농업분야에서도 눈에 띄는 성장이 있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그 세종대왕의 정신을 계승한 세종대는 이공계 특성화 학과를 집중 육성해 세계 100대 명문대학교로 발돋움한다는 비전을 세웠다. 과학기술 분야 중 이슈가 되는 주제를 선점해 각 학과의 연구 역량을 집중한다는 구상이다.
◆전기차 충전 핵심소재 개발
세종대 나노신소재공학연구소는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리튬배터리 핵심소재 개발에 나섰다. 전기차 급속충전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10년 후 이목이 집중될 10대 유망 기술로 꼽은 분야다. 세종대 나노신소재공학연구소는 주유소에서 자동차에 기름을 넣는 것처럼 단시간 내에 전기에너지를 주입하는 급속충전 기술과 충전 용량이 매우 큰 리튬공기전지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리튬공기전지도 10대 유망 기술 중 하나다.

◆우리 종자는 우리가 지킨다
식량부족·질병 등으로 전 세계적 '종자전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세종대 분자생물학과는 식물분자생물학 분야를 발전시켜 왔다. 특히 '식물공학연구소(PERI·Plant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를 설립해 식물육종 분야를 본격적으로 특화 중이다. 우리나라는 IMF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지난 10여년간 국내 종자업체가 다국적 기업에 흡수되는 어려움을 겪어왔다. 세종대는 작년 1월 경기도 광주시와 MOU를 체결해 21만평에 달하는 곤지암 부지에 식물공학연구소 설립을 추진 중이다.
1단계로 6000평 규모의 연구동 및 2만평 규모의 온실단지를 건립할 계획이다. 식물공학연구소는 국화·장미·무 육종(전통 및 분자육종)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연구하는 육종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또 작년 10월 농업 분야에서 선두에 선 다국적 기업 신젠타와 육종 분야 연구 및 인력 양성에 대하여 MOU를 체결했다.
세종대와 신젠타는 식물육종 분야의 연구인력 교류와 양성 프로그램을 공동 수행하기로 했다.
◆도심형 테마파크 특성화 사업
디지털콘텐츠학과의 차세대 도심형 테마파크 특성화 사업도 눈길을 끈다. 이 학과는 서울 광진구 어린이회관과 함께 어린이대공원을 차세대 도심형 테마파크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신개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정보통신기술(IT)과 문화예술이 융합된 에듀테인먼트를 개발하고 있으며, 어린이대공원·어린이회관·세종대학교의 교육 프로그램을 연계한 어린이대학 설립 사업도 추진 중이다.
◆환경에너지 특성화 사업
환경에너지융합학과는 환경과 에너지, 기후변화 융합 분야에서 국내 최고 학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특성화 사업을 진행 중이다. 현재 기후변화·대기환경·수질환경·수처리·폐기물 에너지전환 분야에서 5명의 전임교원이 활동 중이며, 특히 온실가스 배출평가, 대기 중 악취물질 분석 분야에서 최고의 연구입지를 굳히고 있다. 김기현·전의찬·허진 교수가 총 14개의 연구 주제로 15억원이 넘는 교외 연구비를 지원받는 성과를 이뤄냈고 연간 총 30편이 넘는 SCI 논문 실적으로 작년 세종대 학과 종합 평가에서 1위를 기록했다.
◆플라즈마 센서 개발
컴퓨터공학과와 전자공학과는 지능형 홀로그램 플라즈마 센서 개발에 나섰다. 플라즈마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각종 나노전자소자 제조에 핵심적으로 이용되는 에너지원이다.
정보통신학과는 스마트빌딩 IT건설융합연구단을 구성해 빌딩의 구조건전성·실내공기 질·에너지양 등을 복합센서로 감지하고 대처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대학입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로 가는 공대] 중앙대학교_기후변화와 식품안전 '원스톱 연구' (0) | 2011.06.20 |
---|---|
세종대학교_환경·에너지·식물육종 분야 "국내 최고 학과로 올라선다" (0) | 2011.06.20 |
박흥수 입학처장이 말하는 '한국외국어대학교 2012 입시 전형' (1) | 2011.06.20 |
[2011 아시아 대학평가] <2> 한국 인문학, 세계무대에 서다 (0) | 2011.06.20 |
이욱연 입학처장이 말하는 '서강대 2012 입시 전형' (0) | 2011.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