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야기

교과서에서 배운 혀 맛 지도 틀렸다

아이미래디자인연구소 2007. 11. 14. 00:23

교과서에서 배운 혀 맛 지도 틀렸다

그 동안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혀의 맛 지도 (단맛은 혀의 앞부분, 신맛은 양 옆, 쓴맛은 목구멍 부분, 짠맛은 혀끝 옆의 가장자리)는 잘못됐다.

2001년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스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에 따르면 “모든 맛은 혀의 어느 부분에서라도 감지할 수 있다”며 “기존의 혀의 맛 지도는 1800년대 후반에 보고된 연구결과를 잘못 해석해서 20세기 초에 작성한 것으로 이제껏 반복돼서 인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일반적으로 인간이 인지하는 맛의 종류는 4가지로 알고 있지만 최근 과학자들은 음식의 감미로움을 느낄 수 있는 ‘감미(umami)’라는 제5의 맛을 인정하는 추세다.

/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lks@chosun.com

    2007.11.13 16:39 입력 / 2007.11.13 19:08 수정

'과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 꿈 키워줄 자연도감 … 어떻게 고를까?  (0) 2008.01.15
사이언스 터널전  (0) 2007.11.25
과학교육 개혁 이렇게  (0) 2007.11.09
공통과학 공부법  (0) 2007.11.08
코리이론  (0) 2007.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