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육식 증가
미국암협회(ACS)가 20여 년에 걸쳐 14만8610명(50~74세)을 조사한 결과 붉은색 고기를 가장 많이 먹은 사람은 가장 적게 먹은 사람에 비해 대장암 발병률이 50% 가량 높았다.
세브란스병원 외과 김남규 교수는 "붉은색 고기와 햄 등 가공육의 동물성 지방이 체내에서 분해·흡수되기 위해선 담즙산이 필요한데, 담즙산이 장에 들어오면 장내 세균에 의해 대사되어 2차 담즙산이 되고, 이것이 발암물질로 작용한다. 또 고기를 직접 불에 굽는 과정에서 각종 발암물질이 생긴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립암센터 대장암센터 정승용 박사는 "육류 섭취가 대장암 발병 위험인자 중 하나지만 직접적 '발병원인'이라는 정립된 근거는 없다. 육류를 무조건 피하기 보다 골고루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더 좋다"고 말했다. -
2.식이섬유 섭취 감소
세계보건기구(WHO)가 유럽 8개국 약 52만 명(25∼70세)의 과거 10년 동안 식이섬유 섭취량을 기준으로 5개 그룹으로 나눈 뒤, 6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식이섬유 섭취가 가장 많은 그룹(1일 평균섭취량 31.9g)이 가장 적은 그룹(12.6g)보다 대장암 발생률이 25% 낮았다. 그 외 나머지 세 그룹도 가장 적게 섭취한 그룹에 비해 6~24% 낮았다. 인하대병원 외과 윤민영 교수는 "식이섬유는 배변량을 증가시켜 대변 내의 담즙산 등 발암물질이 희석시키고 배변이 촉진되면서 대변이 대장 내 머무는 시간이 짧아져 대장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
3.술
영국암연구소가 48만 명을 6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매일 한잔 이상 맥주나 와인을 마시는 것이 대장암 발병 위험을 약 25%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대장항문외과 유창식 교수는 "술로 인해 대장에서 엽산, 메티오닌과 같은 영양소가 결핍되면서 대장암의 발병률이 3배 정도 높아진다. 하루 30g 이상의 과도한 알코올의 섭취는 삼가야 한다"고 말했다. -
4.흡연
2006년 의학 전문지 '암역학(Cancer Epidemiology)'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대장 선종이 발견될 확률이 1.8배, 선종과 과증식 용종이 같이 발견될 위험이 6.2배 높았다. 서울대병원 외과 박재갑 교수는 "담배를 매일 한 갑씩 20년 이상 피우면 대장암의 전 단계인 선종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고, 35년 이상 피우면 대장암의 위험이 높아진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대장암 사망률이 30~40% 정도 높다"고 말했다. -
5.운동 부족
프랑스 국제암연구소 연구팀이 유럽 내 10개국 41만3000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운동이나 집안 청소 등 신체적 활동을 많이 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대장암 발병률이 22% 낮았다. 강남성모병원 외과 오승택 교수는 "규칙적인 운동은 우리 몸의 면역기능을 항진시키고, 대변의 대장 통과시간을 감소시켜 대장암을 예방한다. 또 운동부족이나 비만으로 인슐린이 과잉 분비 되면 대장암 발생 위험이 더 커진다"고 말했다./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lks@chosun.com
대장암의 다섯 가지 원인
'마음 다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사매거진2580(2/17) 새정부의 영어공교육정책전격해부편을 보고.. (0) | 2008.02.18 |
---|---|
홍콩의 '깨어 있는 0.1%' (0) | 2008.02.18 |
남북, 토플 성적 거의 '대등' (0) | 2008.02.14 |
프랑스에도 영어 교육 바람… (0) | 2008.02.09 |
전문성 없는 영어회화 능력은 다국적 기업 콜센터로 가는 지름길 (0) | 2008.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