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큰아이가 초등2학년 입니다. 책 읽는것을 좋아하긴하는데, 정독을 시켜야 할지 다독을 시켜야 할지 궁금합니다. 지금 까지는 그냥 책을 좋아하는 수준인것 같은데 책을 너무 빨리 읽어서 자세한 내용을 모르는 것 같아 걱정입니다.
A: 정독이 좋은지 다독이 좋은지에 대한 논란은 '달걀이 먼저냐 닭이 먼저냐'하는 경우와 비슷합니다. 우리 아이가 다독을 하지만 정독을 못하는 것 같으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아니면 정독을 하는 것 같은데 다독은 안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지 모른다면 그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관찰을 열심히 해야 합니다.
책을 빨리 읽는 아이들은 정독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독을 못하는 것이 아니라 할 마음이 없다는 쪽입니다. 글쓴이가 하고자 하는 말이 무엇인지 궁금하지 않기 때문에 그냥 이야기를 읽어 그 스토리가 무엇인지 알아내는데 더 관심이 많지요. 하지만 대강 읽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을 잘 기억해 내지 못합니다. 자신의 시야에 들어오는 낱말만 읽는 경향이 있어 구석까지 꼼꼼하게 읽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화같이 이야기가 있는 책은 관심이 있고 스타일에 맞아 읽기를 좋아하지만 과학책같은 개념어가 많이 나오고 구석까지 읽어야 하는 책들은 기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같은 경우에는 규칙적으로 다양한 분야를 읽을 수 있는 모임을 강제로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책을 다 읽지는 못하더라도 다른 사람의 얘기를 들으면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성향이기에 모임을 통한 독서교육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Q:주위에 그룹을짜서 방문학습으로 글쓰기 수업을 하는 아이들도 있지만, 같은 동에 사는 아이들끼리 그룹을 짜다 보면 아이들끼리 비교가 되서 장단점이 있더군요.
A: 비슷한 환경에서 사는 아이들끼리 얘기를 나누면 그 생각이 그 생각인 경우가 많지요. 만약 이런 점이 싫으시다면 그룹을 짤 때 남녀 성비를 맞추거나 성격이 같은 아이보다 다른 아이들을 섞는 것이 좋습니다. 팀 짜기가 힘드시다면 다양한 아이들이 모이는 학원으로 가는 것도 다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Q:근처에 ` 철학연구소`와 비슷한 독서토론 연구소가 있긴하던데 언제부터가 적기일지 우리 아이에게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A: 책을 읽고 토론하는 것은 적기가 따로 없는 것 같습니다. 글자를 몰라도 이야기를 듣고 얘기를 나눌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다만 아이가 다른 사람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7세 이후 정도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일찍부터 독서토론을 시키면 책 읽고 난 후 자신의 생각을 다른 아이들에게 알리는 일이 남들보다는 어색하지 않겠지요.
Q:저희 아이는 스토리형 아이인것 같습니다. 어떻게 지도해야할까요? 독서, 학습(국어, 수학, 영어등등) 을 어떻게 시켜야 할지 막막합니다. 항상 소희님께 도움을 청할 수 있다는게 든든합니다.더운여름 기운내세요...
A: 제 생각에는 스토리형보다 정보형인 것 같으데 스토리형이라 판단하시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성향이 정확하게 판단되어야 학습계획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지요. 얼른 답을 주세요~
'답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학년 아이용 전집을 사주고 싶어요. (0) | 2008.10.06 |
---|---|
한글 통글자로 배울까? 자음과 모음으로 배울까? (0) | 2008.07.15 |
초등학교 1학년 여자아이를 둔 직장맘 (0) | 2008.07.03 |
6학년 여릅방학준비 (0) | 2008.06.29 |
일기쓰기 (0) | 2008.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