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죽의 힘과 진한 육수의 만남, "다미수제비"
웬일인지 혜화동부터 성북동까지 여기저기 칼국수집들이 많이 모여 있습니다. 바지락이나 해물, 멸치 육수가 아니라 모두 사골 양지 등의 소고기 육수로 내는 집들입니다.
혜화동 로터리 인근에 손칼국수, 혜화문 올라가는 길목에 혜화칼국수 혜화문을 지나 한성대 입구역 못 미쳐 골목에는 국시집, 한강, 성북동 쪽으로 올라가면 손칼국수집과 성북동집이 또 있습니다.
대부분 소고기 육수를 진하지만 깔끔하게 맛을 내고 손반죽과 칼맛이 나는 부드러운 면을 사용합니다.
(국시집) (한강)
(혜화 칼국수) (손칼국수)
이 동네에 진하면서도 깔끔하게 고아 낸 사골육수로 수제비를 끓여내는 "다미 수제비"가 있습니다.
수제비도 직접 손반죽을 해서 쫄깃한 맛이 그만이라 돗대기 시장 같은 삼청수제비 집 보다 더 즐겨찾던 곳인데 먹깨비의 생활범위와 다소 좀 떨어져 있어 한동안 뜸했답니다.
그래서 오래간만에 찾았더니 간판을 좀 모던하게 바꾸었네요.
문을 열자마자 바로 주방과 홀이 있는데 가끔 주방에서 손반죽하는 모습을 보기도 합니다.
간판은 바뀌었지만 분위기는 그대로인 듯하군요. 메뉴도 그대로입니다.(메뉴판은 새로 만들었나봅니다)
뭐 계절메뉴로 과메기가 추가되긴 했군요.
아직 저녁에 들린 적은 없지만 나중에 기회가 되면 문어나 수육에 한잔 하는 것도 괜찮을 듯 싶습니다.
이 집에서 먹깨비의 고정 주문 메뉴는 해물전과 사골 수제비. 오늘은 검은 콩 막걸리도 마셔주기로 합니다. (이 음료도 추가된 메뉴)
먼저 곁들이 찬을 내옵니다. 이 집의 매력은 사골 수제비의 맛에도 있지만 이 찬들의 맛도 한 몫 해주지요.
무채 김치, 오이무침(김치처럼 절여서 양념을 한 듯한데 씹어주는 맛이 좋답니다) , 김치에 고소한 손맛이 느껴지는 나물과 해초나물까지 모두 맛깔스럽습니다. 여기에 검은 콩가루의 고소한 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막걸리가 아주 기막히게 어울려줍니다.
막걸리에 뜬 거품이 바로 콩가루인 듯합니다. 고소하면서도 달큼한 맛이 납니다.
청와대에 납품하는 막걸리라는데 MB정부 얘기인지 전 정부의 청와대인지, 대통령이 마시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아뭏튼 맛은 좋습니다.
안주로 먹을 생각이었는데 반찬들로 이미 막걸리 단지가 반쯤 비었을 때 막 부쳐 낸 해물전이 나옵니다. 이집의 해물전은 해물과 파가 들어가긴 하지만 동래파전처럼 푸짐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부드러우면서도 담백한 맛이 좋아 부담없이 먹어줄만한 맛이랍니다. 담백한 쪽을 좋아하는 먹깨비의 기호에는 푸짐하게 내는 동래파전에 비해 이집의 소박한 해물전이 더 마음에 듭니다.
파도 억세지 않고 잘 부쳐져서인지 야들야들하게 씹혀지면서 단맛을 내줍니다.
웬만큼 막걸리와 해물전으로 배가 채워지고 있을 때, 오늘의 하이라이트 사골수제비가 나옵니다.
1인분을 미리 두 그릇에 나눠 내옵니다. 진한 사골 육수의 맛에 청양고추의 매콤한 맛이 섞여지면서 칼칼한 맛을 내주는군요.
곱게 썰어 건지로 넣은 호박이나 감자가 구수한 맛을 더 해줍니다.
수제비는 손반죽의 맛이 제대로 나는 쫄깃한 맛입니다. (조금 더 부드러웠으면 하는데)
고명으로 올려놓은 고기의 맛도 좋습니다. 제법 고소하게 씹히는 맛이 다음 기회에 먹어보려는 수육에 상당히 기대가 갑니다.
면류나 밀가루 음식을 좋아하는 먹깨비가 오래 전부터 수제비가 생각날 때면 찾던 집이었는데 그동안 사진도 없었고 또 한동안 가보질 못해서 올리지 못했던 집입니다.
맛은 여전합니다. 게다가 더 깊어진 듯하기까지 합니다. 그래서 오래간만에 맛집 100선에 올립니다.
한성대입구 역(5번 출구)에서 혜화동 방향으로 틀어서 20미터 가면 혜화문 아래 베드로 병원이 있고 그 옆 골목으로 들어서면 초입에 있습니다. (02-742-4724)
흠흠!!:
저도 가끔 선배님들과 함께 먹어 보았던 식당들입니다. 대통령들께서 자주 다니던 곳이라니 그 호기심에 가보곤 했지요. 밤이 되면 날이 선선해지니 고소한 수제비가 그립네요.
'먹는 즐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의 요리 여왕 김소희씨 내일 청계광장서 푸드쇼 (0) | 2008.08.24 |
---|---|
'면 전문점 삼국지' (0) | 2008.08.18 |
서울 신사동 '이소영 찬방의 한식' (0) | 2008.08.15 |
‘2008 서울푸드페스티벌’, 서울시 주최로 22일부터 열흘간 열려 (0) | 2008.08.12 |
[스크랩] 주전부리 생각날때,..고구마과자 (0) | 2008.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