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수능 수리 영향력·시험부담 ↑
연합뉴스 | 입력 2010.04.22 11:32 | 수정 2010.04.22 18:00
응시 영역·과목은 최대 8개 → 7개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 교육과학기술부가 22일 발표한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은 이 시험을 치르는 고 2년생들이 고교에 입학하기 직전인 2008년 12월 예고했던 것이다.
2011학년도까지의 수능과 비교하면 선택할 수 있는 탐구 영역의 선택과목이 1과목 줄고, 수리 영역의 출제 범위가 확대 조정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수리 영역의 시험 준비 부담이 늘어나고, 수능 고득점 여부와 대입 당락에 미치는 영향도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탐구 영역 선택 1과목 축소 = 현행 수능 응시 영역(과목)은 언어·수리·외국어(영어) 영역에 사회/과학/직업탐구 영역 4과목, 또 제2외국어·한문 영역 1과목을 합쳐 최대 8개이다.
현 정부 출범 직전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탐구 및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선택과목을 2개를 넘지 않도록 해 응시 영역(과목)을 최대 5개로 줄이는 안을 내놨으나 교과부가 사회/과학탐구 영역의 선택과목을 최대 4개에서 3개로 줄이는 쪽으로 조정했다.
탐구 및 제2외국어ㆍ한문의 응시 과목을 너무 줄이면 국ㆍ영ㆍ수 위주의 학습이 심화하는 등의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판단에서였다.
따라서 2012학년도 수능시험을 치르는 수험생은 언어·수리·외국어 영역에 사회/과학/직업탐구 영역 3과목, 제2외국어·한문 영역 1과목 등 최대 7개 영역(과목)을 선택하면 된다.
선택과목은 현행과 마찬가지로 사회탐구 11개, 과학탐구 8개, 직업탐구 17개, 제2외국어·한문 8개이다.
시험 영역이나 과목은 수험생이 모두 자유롭게 선택해 응시할 수 있다.
지원하려는 대학의 입학전형 방법에 따라 특정 영역을 치르지 않아도 되고 탐구영역에서 1과목 또는 2과목을 봐도 된다는 것이다.
◇ 수리 영역 출제 범위 확대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수리 영역의 출제 범위는 종전보다 확대되고 가형의 선택과목이 없어진다.
자연계 응시자들이 주로 선택하는 수리 가형의 경우 현재 `수학I' `수학Ⅱ' 2개 과목은 필수이고 `미분과 적분' `확률과 통계' `이산수학' 등 3개 선택과목 중 1개를 고르게 돼 있으며 수학Ⅰ 12문항, 수학Ⅱ 13문항, 선택과목 5문항 등 30문항이 나온다.
2012학년도 시험은 `수학Ⅰ' `수학Ⅱ' `적분과 통계' `기하와 벡터' 등 4개 과목으로 개편돼 모두 필수이고, 문항 비율은 각 과목 25%로 7~8문항씩 출제된다.
배우는 내용으로 보면 `미분과 적분' `확률과 통계' `이산수학' 등 3개 선택과목에서 `이산수학'의 내용은 제외하고 `미분과 적분' `확률과 통계'는 `적분과 통계'에 합쳐졌으며 `기하와 벡터'는 수학Ⅱ에 있던 내용을 별도 과목으로 독립시킨 것이다.
인문계 학생들이 주로 응시하는 수리 나형은 현행 `수학Ⅰ'에서만 30문항이 출제됐으나 `미적분과 통계기본'이 추가돼 15문항씩 나온다.
인문계 학생들은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2002학년도부터 미적분을 배우지 않았었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인문계 미적분이 부활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수학Ⅰ'은 모든 문항을 가, 나형 공통으로 출제하고 가형 `수학Ⅱ'와 `적분과 통계'는 나형 과목인 `미적분과 통계기본'과 내용 요소가 같은 경우 공통 문항을 출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하와 벡터'에는 `미적분과 통계기본'과 공통 내용이 없다.
keykey@yna.co.kr
'대학입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학년 수능에서 수학 부담 증가할까? (0) | 2010.04.22 |
---|---|
내년도 수능 수리영역 출제비율 어떻게 바뀌나 (0) | 2010.04.22 |
내년 수능 11월10일에 치른다 (0) | 2010.04.22 |
'2011학년도 수능 계획' 발표 (0) | 2010.03.30 |
“EBS와 지문ㆍ도표는 그대로…문제는 다르게” (0) | 201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