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강의 (1주)
글쓰기 준비 단계 (1주~7주)
단계 숙제 교육 목표 준비단계 문제제기
기간
1주
최근에 가장 관심있는 내용과 관련된 글 찾아오기
문제제기(그 문제를 다루어야하는 이유)
2주
글을 읽고 제목 내가 다시 짓기
구체적으로 제목 정하기
3주
글 속에서 다루어진 핵심어와 핵심 주제 찾기
글의 구성 알아보기
4주
글 속에 나타난 글쓴이의 생각 정리하기
주장 하고자 하는 것 알아내기
5주
글 속에 나타난 글쓴이의 자료와 주장 근거 정리하기
자신의 주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법 알아내기
6주
내가 지은 제목으로 글쓴이의 글 다시 쓰기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
7주
글쓴이와 내 글의 차이점과 유사점 정리하기
자신의 글을 다시 훑어보며 보완하기
8주
생각해 볼 제목 정하기
관심분야를 찾아내 그 연구의 필요성을 얘기하자.
1. 글쓰기 전에 생각 정리하기
주관적 사고 | 객관적 사고 | |
잘 생각하기 | 구체적으로 생각하기 | 공감을 얻어내는 생각 |
1단계 | 2단계 | 3단계 |
주관적 사고를 개발하는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1단계는 '잘 생각하기'다.
생각하는 것을 '잘'한다는 것은 무엇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한다는 의미이다.
'환경문제는 해결해야 한다.'는 말은 그 말 그대로 당연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정작 왜 환경문제를 해결해야 하지?
........
바로 자신있게 대답할 아이들은 많지 않다.
왜냐하면 너무 당연한것이기에 생각없이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당연한 일이더라도 '왜?' 그럴까 스스로 묻는 과정이 '잘 생각하기'이다.
스스로 묻고 답을 얻는 과정에서 무심코 당연하다고 여겨졌던 사실들이 자신의 일 인 양 정감있어 지기 때문이다.
2단계는 '구체적으로 생각하기'다.
'왜 그럴까?' 생각하기 시작하면서 고통스러운 일이 생긴다.
'환경문제'는 해결되어야 한다는 생각은 맞는데 어떻게 해결하지?
대안을 찾다보면 어떤 환경문제부터 다루어야 할 지 고민이 되기 시작한다.
고민의 대상을 구체적으로 정해놓고 얘기를 진행해야 할 상황이다.
자~ '환경문제'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실내공기오염' 등 다양하다.
그 중 하나 골라 '공기 오염'에 대해 대안을 짜내려 한다.
'공기오염' 아직도 막막하다.
좀 더 고민하다 보면 구체적으로 '지하도 공기 오염'에 대해 얘기해야겠다고 결정한다.
이것으로 끝일까? '지하도 공기 오염'도 막연하기는 마찬가지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대상을 생각해야 한다.
'서울시 지하도' -> '서울시 지하철 3호선 지하도' -> '서울시 지하철 3호선 '강남터미널역' 지하도
대상이 구체적으로 정해졌다 하더라도 '시기'가 정해져야 더 구체적이 된다.
'2008년 1월~ 12월' 월별 지하도 공기 오염도
'2008년 계절별 지하도 공기 오염도'
2주차 제목 정하기
제목을 '원인'과 '결과' 형식으로 재구성하기
3주차 핵심어와 핵심주제 찾기
원인에 연과된 변인들, 결과에 연관된 변인들 맵 구성하기
'국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종으로 확~ 늘어난 중1 국어 교과서 (0) | 2010.05.16 |
---|---|
국어가 기본이다 (0) | 2009.01.09 |
서울대 인문계 논술 지문, 교과서에서 나와 (0) | 2008.01.12 |
임재춘 교수의 자연계열 논술 글쓰기 (0) | 2007.11.03 |
국문학과는 소멸되는가 (0) | 2007.09.26 |